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68

남가일몽 南柯一夢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남가일몽(南柯一夢)남(南): 남쪽 남가(柯): 나뭇가지 가일(一): 한 일몽(夢): 꿈 몽남쪽 나뭇가지의 꿈 (헛된 꿈 또는 인생의 덧없음)유래당나라 이공좌의 소설 《남가태수 전》당나라 때 양주에 순우분이라는 선비가 있었습니다. 그의 집 남쪽에는 아름드리 회화나무 고목이 있었는데, 여름에는 친구들과 어울려 그 나무 그늘에서 술을 마시며 즐기곤 하였습니다. 하루는 술에 만취하여 잠들었는데 두 관리가 나타나 절하며, 괴안국 국왕의 어명을 받고 모시러 온 사신이라고 합니다. 순우분이 사신을 따라 괴화나무 구멍으로 들어가자 괴안국 왕은 그를 반갑게 맞아주며 부마로 삼고, 남가군의 태수로 임명하여 20년 동안 고을을 태평하게 다스리며 다섯 아이들 중 아들은 모두 벼슬에 오르고 딸은 왕가에 시집보냈습니다.  하지만.. 2023. 5. 19.
구미속초 狗尾續貂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구미속초(狗尾續貂)狗(개 구): 개, 개와 관련된 것.尾(꼬리 미): 꼬리, 끝 부분.續(이을 속): 잇다, 연결하다.貂(담비 초): 담비, 담비의 가죽.개 꼬리를 담비 꼬리에 잇는다는 뜻으로, 훌륭한 것 뒤에 보잘것없는 것이 뒤따름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 주로 처음에는 좋은 일이 있었으나 나중에 가면서 수준이 떨어지는 경우에 쓰인다. 유래《진서 (晉書)》 「조왕륜전 (趙王倫傳)」중국 삼국시대 진나라 사마륜은 대신 손수와 공모하여 진나라의 제위를 찬탈하자 그의 친척들과 친구들도 덩달아 벼슬을 하게 되었으며, 심지어는 종들과 심부름꾼들까지도 한 자리씩 맡게 됩니다.당시 관원들은 담비의 꼬리가죽으로 관모를 꾸몄는데, 벼슬아치들이 갑자기 많아져 담비 꼬리 품귀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에 하는 수 없이 비슷한 개.. 2023. 5. 19.
권불십년 화무십일홍 權不十年 花無十日紅 덧없는 권력과 영광의 무상함 권불십년(權不十年)權(권세 권): 권력, 세력.不(아닐 불): 아니다, ~하지 않다.十(열 십): 숫자 열.年(해 년): 해, 년.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花(꽃 화): 꽃.無(없을 무): 없다.十(열 십): 숫자 열.日(날 일): 날.紅(붉을 홍): 붉다.권세는 십 년을 가지 못하고, 꽃도 십 일 동안 붉게 피지 않는다. 이는 권력이나 부귀영화는 오래가지 못하고, 모든 것은 결국 쇠퇴하거나 사라진다는 의미이다. 유래권불십년 화무십일홍(權不十年 花無十日紅)은 권력이나 부귀가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상징하는 고사성어입니다.권불십년과 화무십일홍의 두 성어가 결합한 것으로, 각각 십 년을 넘기는 권세는 없다와 열흘 동안 붉은 꽃은 없다는 뜻을 가집니다.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권력과 영광도 결국 쇠퇴한다는 교훈을 .. 2023. 5. 18.
감지덕지 感之德之 작은 은혜에도 감사하는 마음의 미학 감지덕지(感之德之)感(느낄 감): 느끼다, 감동하다.之(갈 지): ~의, ~를 향하여.德(덕 덕): 덕, 은혜.之(갈 지): ~의, ~를 향하여.작은 은혜나 도움에도 매우 감사하고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표현하는 말. 유래감지덕지는 구체적인 역사적 사건이나 문헌에서 비롯된 고사성어는 아니지만,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주로 사소한 도움이나 배려에도 감사의 마음을 잊지 않는 태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유교 사상에서 '감사'와 '덕'을 강조하는 문화가 이 표현의 배경에 깔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의어당연지사(當然之事): 당연한 일로 여기고 감사하지 않는 태도. 2023. 5. 17.
막역지우 莫逆之友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막역지우 (莫逆之友)莫(없을 막): 없다, 부정하다.逆(거스를 역): 거스르다, 위배되다.之(갈 지): ~의 (연결사).友(벗 우): 친구, 벗.서로 거스르지 않는 친구. - 아무 허물없이 친한 친구 유래어느 날 자사, 자여, 자려, 자래가 모여서 삶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이야기를 하던 중 한 사람이 "누가 죽음과 삶 그리고 있음과 없음이 하나라는 것을 알까? 그런 사람이 있다며 그런 사람을 벗으로 삼고 싶다."라고 말하였습니다.그러자 네 사람은 서로를 바라보면서 싱긋 웃었습니다. 모두 같은 마음이었기 때문이지요. 네 사람은 서로 뜻이 잘 통하는 것을 알고는 그 자리에서 친구가 되었습니다. 이들의 우정은 병이 들고 죽음을 눈앞에 둔 순간까지도 이어졌습니다. 2023. 5. 17.
도행역시 倒行逆施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도행역시 (倒行逆施)倒(거꾸로 도): 거꾸로, 뒤집다.行(다닐 행): 행동하다, 행하다.逆(거스를 역): 거스르다.施(베풀 시): 시행하다, 행하다.순리를 거슬러 행동한다 유래초나라의 오자서는 자신의 아버지와 형제가 초평왕에게 살해되자 위협을 느껴 오나라로 망명하였습니다. 오왕 합려의 신하가 된 오자서는 특출 난 자질로 두각을 나타내어 조정을 좌지우지하는 위치까지 올라가게 됩니다.그는 합려에게 계속된 초나라 정벌을 설득하여 마침내 승낙을 받아냅니다. 정벌군의 선두에 선 오자서는 고국인 초나라를 공격해 마침내 도성을 점령합니다.그러나 평왕은 이미 죽고 후사를 잇고 있던 소왕도 달아나버렸습니다. 도성을 점령하였지만 살아있는 평왕에게 직접 복수할 수 없게 된 오자서는 원수를 갚고자 이미 죽은 초평왕의 시체를 .. 2023.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