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동풍 (馬耳東風)
- 馬(말 마): 말.
- 耳(귀 이): 귀.
- 東(동쪽 동): 동쪽.
- 風(바람 풍): 바람.
말의 귀를 스치는 동풍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린다,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는다)
유래
중국 당나라의 시인 이백에게 왕십이라는 절친한 친구가 편지에 시 한 구절을 써서 보내왔습니다.
<한야독작유회>
추운 밤, 나는 혼자서 술을 마시고 있다네.
그러자니 느껴지는 것이 참 많네.
친구의 글을 읽은 이백은 서글퍼졌습니다. 왕십이가 보낸 짧은 글이 무슨 뜻인 줄 알았기 때문입니다. 그 시절엔 싸움을 잘하고 오랑캐와 싸워 작은 공이라도 세워야 훌륭한 사람이라고 인정받았기 때문입니다.
이백은 슬퍼하며 친구 왕십이에게 답장을 적어 보냈습니다.
친구 우리네 시인들이 아무리 좋은 시를 짓더라도 이 세상 속물들은 그것을 알아주지 않는다네.라는 장시를 답장으로 보냈습니다.
<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 마지막 구절에 나오는 마이동풍>
세상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모두 머리를 흔드네
마치 봄바람이 말의 귀를 스치는 것처럼
'고사성어 & 사자성어 &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망치한 脣亡齒寒 관계의 중요성을 되새기다 (0) | 2023.05.10 |
---|---|
무릉도원 武陵桃源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3.05.10 |
가도벽립 家徒壁立 가난의 상징 (0) | 2023.05.08 |
가도멸괵 假途滅虢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3.05.08 |
침소봉대 針小棒大 청출어람 靑出於藍 쾌도난마 快刀斷麻 뜻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