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노지말(強弩之末)
- 強(강할 강): 강하다, 세다.
- 弩(노): 활, 특히 쇠뇌를 뜻함.
- 之(갈 지): ~의, ~에 해당하는 지시사.
- 末(끝 말): 끝, 마지막.
강하게 쏜 쇠뇌의 화살도 멀리 날아가면 힘을 잃어 떨어진다는 뜻으로, 아무리 강한 힘이나 세력도 시간이 지나면 쇠퇴한다는 의미입니다.
유래
한나라의 고조 유방이 한나라보다 몇 배의 군사력을 지닌 초나라의 항우를 패배시킨 후, 골칫거리인 흉노 정벌을 위해 출전하였다가 흉노에 포위까지 당하며 위험한 상황을 진평의 묘책으로 포위망을 간신히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이후, 한고조는 흉노와 형제국으로 지내자는 조약을 맺고 해마다 선물을 보내기로 하였지만, 흉노는 조약을 깨고 이따금 변경을 넘어와 약탈을 하였지만 한나라는 그때마다 쫓아내기만 할 뿐 전면전은 피하였습니다.
그렇게 수십년이 지나고 어느 날 흉노가 사신을 보내어 화친을 요청해 왔습니다. 무제는 이 일에 대한 대신들의 의견을 물었는데, 왕희는 화친을 반대하며 이번 기회에 흉노토벌을 주장하였습니다 (당시 한나라는 국력이 절정에 달해 있었습니다)
이때 어사대부 한안국이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어 무력응징을 반대합니다 "강한 쇠뇌에서 힘차게 나간 화살이라도 최후에는 힘이 떨어져 노나라에서 만든 얇은 비단조차 뚫을 수가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아무리 강한 군사력도 장도의 원정에는 여러모로 군사력이 쇠퇴하는 법입니다." 흉노를 토벌하기보다 그들의 화친 요정을 들어주는 게 옳다고 여겨집니다."
다른 대신들도 한안국의 말에 동조하는 자가 많았고 무제 또한 옳다고 여겨 흉노와 화친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듬해 한안국의 반대에도 왕희는 토벌을 주장하여 원정을 갔지만 실패하고 책임을 물어 왕희는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됩니다.
천고마비 (추고새마비)
흉노족 관련 다른 고사성어로 천고새마비가 있습니다.
골칫거리였던 흉노족을 막기 위해 만리장성까지 완성하였지만 흉노족의 침입을 막기에는 역 부족이었습니다. 척박한 초원에서 방목과 수렵만 하는 흉노족 입장에서도 혹독한 겨울을 지내기 위해 식량 조달은 약탈로 해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가을이 오면 변방에서 흉노족이 언제 침입할지 모르니 경계하라는 의미로 '추고새마비'라고 하였습니다.
천고마비 뜻 유래 추고새마비
천고마비 (天高馬肥)天 (하늘 천): 하늘.高 (높을 고): 높다.馬 (말 마): 말.肥 (살찔 비): 살찌다.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 (풍요로운 가을을 표현합니다)유래은나라 때부터 중국 북방에 나타나기
124816.tistory.com
'고사성어 & 사자성어 &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토지쟁 犬兔之爭 싸움 속 숨겨진 이득의 법칙 (0) | 2023.05.15 |
---|---|
거두절미 단도직입 일침견혈 뜻 (0) | 2023.05.15 |
백해무익 百害無益 백전노장 百戰老將 백귀야행 百鬼夜行 뜻 (0) | 2023.05.14 |
거세개탁 擧世皆濁 뜻 유래 온 세상이 모두 탁하다 (0) | 2023.05.13 |
강구연월 뜻 유래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 (0) | 202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