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 사자성어 & 그 외

백면서생 白面書生 세상 물정 모르는

2023. 5. 16.

백면서생 白面書生

백면서생(白面書生)

  • 白(흰 백): 희다, 깨끗하다.
  • 面(얼굴 면): 얼굴.
  • 書(글 서): 책, 글.
  • 生(날 생): 나다, 삶.

얼굴이 희고 책만 읽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세상 경험이 부족하고 글공부만 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유래

《송서(宋書)》〈심경지전(沈慶之傳)〉에 나오는 이야기

남북조시대에 남조의 송나라와 북조의 북위는 강남의 사진을 둘러싸고 때로는 대립하고, 때로는 화의 하는 외교적 관계를 유지하였습니다.

북위의 태무제는 북쪽을 무력으로 통일한 다음 유연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서역 여러나라와 우호적인 외교 관계를 맺었습니다. 그러자 송나라 제3대 문제는 남쪽의 임읍을 평정하여 북위와의 일대 결전에 대비하였습니다.

449년 북위의 태무제가 유연을 선제 공격하자 송나라의 문제는  이때가 숙적 북위를 공격할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하여 문신들과 북위를 공격할 방법을 논의하였습니다.

이때 무관인 심경지는 이전에 결행한 북벌 출병의 예를 들어 출병을 반대하고 "폐하, 밭갈이는 종에게 물어보고, 베를 짜는 일은 하녀에게 물어보아야 합니다. 지금 폐하는 적국을 공격하려고 하면서 백면서생과 일을 도모하면 어찌 적을 이길 수 있겠습니까.?"라고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심경지의 말을 듣지 않고 문인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출병을 강행하였지만 결과는 크게 패하고 말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