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왕2 은감불원 殷鑑不遠 가까운 실패에서 배우는 지혜 은감불원 (殷鑑不遠)殷(성할 은): 은나라, 성하다.鑑(거울 감): 거울, 반성.不(아닐 불): 아니다, 부정.遠(멀 원): 멀다.은나라의 거울은 멀리 있지 않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가까운 곳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교훈을 간과하지 말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유래은감불원은 고대 중국의 역사서 『시경(詩經)』 대아편(大雅篇)에 기록된 내용에서 유래합니다. 은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은 초기에는 훌륭한 군주였으나, 미녀 달기(妲己)에게 빠져 폭정을 일삼게 되었습니다. 그는 백성들을 착취하고 잔혹한 형벌을 시행하는 등 국정을 소홀히 하여 결국 은나라는 주나라에 의해 멸망하고 맙니다.이 사건을 통해 서백(西伯)은 주왕에게 하나라 걸왕의 패망을 거울.. 2024. 11. 11. 도탄지고 塗炭之苦 고통 속에서 피어난 도탄지고 (塗炭之苦)塗(칠할 도): 진흙, 바르다.炭(숯 탄): 숯, 재.之(갈 지): ~의.苦(괴로울 고): 고통, 괴로움.진흙탕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듯한 고통이라는 뜻으로, 극심한 어려움이나 고초를 겪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주로 가혹한 정치로 인해 백성들이 겪는 고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고사성어입니다. 유래이 표현은 중국 고대의 문헌인 서경(書經)의 중훼지고(仲虺之誥)에서 하나라의 걸왕이 폭정으로 백성들을 괴롭혔을 때, 그의 학정을 비판하며 백성들이 진흙과 숯불에 빠진 듯한 고통을 겪는다고 표현한 것이 그 기원입니다. 이후 은나라 탕왕이 걸왕을 몰아내고 새로운 정권을 수립하면서 이러한 고통에서 백성들을 해방시키고자 했습니다 유의어백척간두(百尺竿頭): 매우 위태롭고 어려운 상황.진퇴양난(進退兩難): .. 2024. 11.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