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2 경이원지 敬而遠之 뜻 유래 경이원지 (敬而遠之)敬(공경할 경): 공경하다, 존중하다.而(말 이을 이): 그리고, ~하면서.遠(멀 원): 멀리하다, 거리를 두다.之(갈 지): ~를, ~에게.공경하되 멀리한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공경하는 태도를 보이지만 실제로는 꺼려하여 거리를 두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존경심을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거리감을 두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임을 나타냅니다.유래이 고사성어는 『논어(論語)』 중 공자가 제자 번지(樊遲)에게 지혜를 설명하면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는 것이 지혜로운 것이다(敬鬼神而遠之)”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인간과 신의 영역을 구분하고, 경외심을 가지되 불필요한 간섭을 피하라는 가르침이었습니다.공자의 이 말은 단순히 귀신과의 관계를 넘어,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도 적절한 거리.. 2024. 11. 29. 절차탁마 切磋琢磨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절차탁마(切磋琢磨)切(끊을 절): 끊다, 자르다.磋(갈 차): 갈다, 다듬다.琢(쫄 탁): 쫄다, 깎다.磨(갈 마): 갈다, 문지르다.끊고 닦고 쪼고 다듬는다 (학문이나 인격을 갈고닦음) 유래논어(論語) 《학이편 (學而篇)》자공(子貢)이 공자에게 물었습니다. "가난해도 아첨하는 일이 없고, 부자여도 교만하는 일이 없으면 어떻습니까?" 옳은 일이긴 하나 가난해도 도를 즐기고 부자여도 예를 좋아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다시 자공은 "시경(詩經)에 선명하고 아름다운 군자는 뼈나 상아를 잘라서 줄로 간 것처럼 또한 옥이나 돌을 쪼아서 모래로 닦은 것처럼 빛나는 것 같다"라고 나와 있는데 이는 선생님이 말씀하신 수양에 수양을 쌓아야 한다. 는 것을 말한 것입니까? 이에 공자는 자공아 이제 너와 함께 시경을 말할 수.. 2023. 6.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