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공2

형설지공 螢雪之功 뜻 유래 비슷한 의미의 고사성어 형설지공(螢雪之功)형(螢): 반딧불 형설(雪): 눈 설지(之): ~의 지공(功): 공로, 노력 공반딧불과 눈빛으로 공부하여 이룬 공 (어려움을 이겨내고 공부하여 얻는 보람)유래후진의 이한이 지은 ≪몽구(蒙求)≫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손강은 집이 가난하여 기름을 살 돈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늘 눈(雪) 빛에 책을 비추어 글을 읽었습니다. 나중에 그는 어사대부에까지 벼슬이 올랐습니다.차윤이란 사람은 기름을 구할 수가 없어 여름이면 수십 마리의 반딧불을 주머니에 담아 그 빛으로 밤을 새우며 책을 읽어 마침내 이부상서가 되었다고 합니다.비슷한 의미의 고사성어주경야독(晝耕夜讀)주(晝): 낮 주경(耕): 밭 갈다 경야(夜): 밤 야독(讀): 읽다 독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는다 (어려운 여건.. 2023. 6. 21.
병가지상사 兵家之常事 뜻 유래 - 병법을 다루는 사람에게 있어 흔한 일 병가지상사 (兵家之常事)兵 (군사 병): 병사, 군사家 (집 가): 집, 전문가之 (갈 지): ~의 (관형격 조사)常 (항상 상): 항상, 늘事 (일 사): 일, 사건이기기도 하고 지기도 하는 것은 항상 있는 일이다 일에 성공과 실패가 있으므로 승패에 개의치 말고 최선을 다하라는 뜻실수나 잘못은 흔히 있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한번 실수는 병가지상라' 라는 말로 자주 쓴다.승패병사지상사勝 이길 승, 覇 패할 패, 兵 군사 병, 家 집 가, 之 갈 지, 常 항상 상, 事 일 사중국 당나라 때 배도전에 이기고 지는 것은 병가에서 항상 있는 일이다라는 헌종의 승패병가지상사에서 유래되었다. - 헌종 때 오원제라는 장수가 일으킨 반란군에게 진압군이 패하자 헌종은 이기고 지는 것은 병가에게 항상 있는 일이다며 강.. 2023.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