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자5

남귤북지 南橘北枳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본성 남귤북지 (南橘北枳)南(남녘 남): 남쪽.橘(귤 귤): 귤나무.北(북녘 북): 북쪽.枳(탱자 지): 탱자나무.남쪽 땅의 귤나무를 북쪽에 옮겨 심으면 탱자나무로 변한다는 뜻으로, 환경에 따라 사람의 성품이나 행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비유합니다. 즉, 같은 사람이라도 처한 상황에 따라 선하게도, 악하게도 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유래중국 춘추시대 제나라의 명재상 안영(晏嬰)이 초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의 일화에서 유래합니다. 초나라 영왕이 제나라 출신의 죄인을 보고 "제나라 사람들은 원래 도둑질을 잘하는가?"라고 비아냥거렸습니다. 이에 안영은 "귤나무가 회화강 남쪽에서 자라면 귤이 되지만, 북쪽에서 자라면 탱자가 된다. 이는 물과 흙의 차이 때문"이라며, 죄를 범한 이유는 환경 때문이라고 설명했.. 2024. 10. 24.
갈이천정 渴而穿井 뜻 유래 - 목이 말라야 비로소 우물을 판다 갈이천정 (渴而穿井)갈 (渴): 목마를 갈이 (而): 말 이을 이 (그리고, ~해서)천 (穿): 뚫을 천정 (井): 우물 정목이 말라야 비로소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하지 않고 있다가 일이 닥치고서야 서둘러도 소용이 없음을 의미중국 춘추전국시대 의 내편잡상에 나오는 고사로, 노나라 소공이 제나라로 도망쳐 몸을 의탁한 일이 있었다. 제나라 경공이 하루아침에 권자에서 물러나 초라한 신세에 놓인 연유를 소공에게 묻자.소공은 지난날을 후회하며 "자신을 보좌할 충신은 등용치 않고 주변에 간신과 소인배만 두었기 때문이다. 권좌에 있을 때는 누가 충신인지 몰랐으나 모든 걸 잃고 나니 비로소 알게 됐다.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제는 바른 정치를 할 수 있겠다"라고 말했다 경공은 이 말을 듣고 소공이 자신의 과오를.. 2023. 4. 17.
의기양양 意氣揚揚 마부의 자만과 깨달음 의기양양 (意氣揚揚)意(뜻 의): 뜻, 생각氣(기운 기): 기운, 활기揚(날릴 양): 드높이다, 뽐내다揚(날릴 양): 드높이다, 뽐내다의기양양은 원하던 바를 이루어 매우 만족하며 자랑스러워하는 모습을 뜻합니다. 유래의기양양은 춘추시대 제나라의 명재상 안영과 그의 마부와 관련된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 안영의 마부는 말을 몰면서 매우 자랑스러운 태도를 보였는데, 이를 본 그의 아내는 마부가 남의 일을 하면서도 스스로를 우쭐해하는 모습에 실망합니다. 이 일로 마부는 교만을 반성하고 겸손하게 태도를 바꿨고, 안영은 그를 칭찬하며 후에 대부로 천거하였습니다. 유의어득의양양(得意揚揚): 뜻한 바를 이루어 기세등등함.심만의족(心滿意足): 마음속으로 만족해함.주저만지(躊躇滿志): 뜻을 이루고 기뻐함. 반의어의기소침(意.. 2023. 4. 16.
귤화위지 橘化爲枳 뜻 유래 - 제나라 안자 귤화위지(橘化爲枳)橘(귤 귤): 귤나무化(화할 화): 변하다爲(뒬 위): 되다枳(탱자 지): 탱자나무강남 귤을 감북에 심으면 탱자가 되듯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짐을 비유 (귤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이 환경에 따라 선하게도 악하게도 됨을 일컫는 고사)귤화위지 유래춘추시대 당시 제나라를 얕보던 초나라 영왕은 명성을 드 날리고 있는 안자의 기를 꺽어보려는 속셈으로 사신으로 온 안자의 단신을 비꼬면서 이렇게 묻습니다. "제나라에는 이렇게 사람이 없소?" 이에 안자는 "어찌 그런 말씀을 하십니까? 제나라는 길가는 사람들이 어깨를 서로 비비고 발꿈치를 서로 밝고 다니는 정도입니다."라고 응답합니다.영왕은 이어 "그런데 어찌해서 당신과 같은 사람이 사신으로 오게되었소?"라고 하면서 안자를 비웃었습니다.하.. 2023. 4. 9.
양두구육 羊頭狗肉 뜻 유래 - 제나라 안자 양두구육 (羊頭狗肉)羊 (양): 양 양頭 (두): 머리 두狗 (구): 개 구肉 (육): 고기 육양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으로 보기에는 좋아 보이지만 속은 그렇지 않음을 일컫는 말 같은 말로는 표리부동, 권상요목, 명종복배, 구밀복검, 양봉음위가 있으며, 반대말로는 표리일체가 있다. 유래 춘추시대 제나라 영공은 총애하는 첩인 융자가 남장을 하고 다니자 그걸 좋아했다. 그 취미가 온 나라에 퍼지자 제나라 여인들이 온통 남자 복장을 하기 시작했고, 이를 전해 들은 영공은 남장을 금지시켰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당대 명성 있는 사상가인 안자를 만난 영공은 금지령이 지켜지지 않는 까닭을 물었고 안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군주께서는 궁궐 안에서는 여인들에게 남장을 허하면서 궁 밖에서는 못하게 하십.. 2023.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