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포지교 (管鮑之交)
- 관 (管): 대롱이나 피리 등을 뜻하는 '관' 자로, 여기서는 관중(管仲)의 성을 나타냅니다.
- 포 (鮑): 물고기 중 하나인 전복을 뜻하는 '포' 자로, 포숙아(鮑叔牙)의 성을 나타냅니다.
- 지 (之): '~의'라는 뜻으로, 앞의 두 인물(관중과 포숙아) 사이의 관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교 (交): 사귈 '교' 자로, 친구 사이의 사귐이나 교류를 의미합니다.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처럼 아주 돈돈하고 허물없는 사이 (친구 사이의 깊은 우정을 말한다)
유래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에 관중과 포숙아라는 두 관리가 있었다. 둘은 죽마고우로 둘도 없는 친구였으나 벼슬길에 오른 뒤 각자 다른 길을 걷기 시작해 본의 아니게 적이 되었다.
관중은 제나라 군주인 희공의 공자 규를 보좌하게 되었고, 포숙아는 규의 이복동생인 소백을 섬기게 되면서 관중이 소백에게 활을 쏘아 죽이려고도 했다
이후 후계 다툼에서 소백이 승리해 제 환공에 즉위하면서 규는 죽임을 당했고 그 측근인 관중마저 죽이려 했으나 (소백이 군주에 오르는데 큰 공을 세운) 포숙아가 소백에게 진언했다.
"관중의 재능은 신보다 몇 곱절 낫습니다. 제나라만 다스리는 것으로 만족하신다면 신으로 충분합니다만 천하를 다스리고자 하신다면 관중을 기용하셔야 하옵니다."
소백은 포숙아의 진언을 받아들여 관중을 대부로 중용하고 나랏일을 맡겼다. 재상에 오른 관중은 재능을 발휘해 소백으로 하여금 춘추시대의 패자로 군림하게 하였다.
후에 관중은 포숙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고 한다
"내가 젊고 가난했을 때 포숙과 함께 장사를 하면서 언제나 그보다 더 많은 이득을 취했으나 포숙은 나에게 욕심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는 내가 가난한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또 몇 번씩 벼슬에 나갔으나 그때마다 떨어졌다. 그래도 그는 나를 무능하다고 흉보지 않았다. 내게 아직 운이 안 왔다고 생각한 것이다.
싸움터에서 도망쳐 온 적도 있으나 그는 나를 겁쟁이라고 하지 않았다. 나에게 늙은 어머니가 계시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나를 낳아준 이는 부모지만 나를 진정으로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다."
유의어
- 금란지교 (金蘭之交): 친구 사이의 우정이 매우 단단하고 아름다움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 수어지교 (水魚之交): 물과 물고기처럼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깊은 관계를 의미합니다.
- 죽마고우 (竹馬故友): 어릴 때부터 함께 자란 오래된 친구를 뜻합니다.
- 막역지우 (莫逆之友): 서로 거스르는 일 없이 아주 친한 친구를 가리킵니다.
'고사성어 & 사자성어 &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사구팽 兎死狗烹 범려와 한신 (0) | 2023.04.30 |
---|---|
국사무쌍 國士無雙 한 나라에서 독보적인 인재 (0) | 2023.04.30 |
고사성어 계륵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3.04.28 |
경국지색 傾國之色 나라를 흔드는 미모 (0) | 2023.04.26 |
결초보은 結草報恩 죽어서도 은혜를 갚는다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