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
- 孟(맏 맹): 맏, 맹자.
- 母(어미 모): 어머니.
- 三(석 삼): 셋, 세 번.
- 遷(옮길 천): 옮기다, 이사하다.
- 之(어조사 지): ~의, ~를 위한.
- 敎(가르칠 교): 가르침, 교육.
맹자의 어머니가 자녀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 세 번이나 집을 옮겼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교육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유래
맹자의 어머니는 어린 맹자가 공동묘지 근처에서 살 때, 장례와 관련된 놀이를 하는 것을 보고 이사를 결심했다. 그 다음에는 시장 근처로 옮겼으나, 맹자가 장사꾼 흉내를 내며 노는 것을 보고 또다시 글방 근처로 이사를 갔다. 그제서야 맹자가 예법을 배우며 학문에 전념하게 되어, 어머니는 비로소 이곳이 적절한 환경이라 여겼다. 이 이야기는 전한 시대 학자 유향이 지은 《열녀전》에서 유래한다
유의어
- 맹모단기(孟母斷機): 배움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 가르침.
- 귤화위지(橘化爲枳): 환경에 따라 사람의 성품이 달라짐.
- 근묵자흑(近墨者黑): 나쁜 환경에 있으면 나쁜 영향을 받음.
반의어
- 적수공권(赤手空拳): 아무런 도움 없이 맨손으로 시작함.
맹모삼천지교는 자녀 교육에서 올바른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일깨워주는 교훈으로 오늘날까지 회자되고 있다.
귤화위지 橘化爲枳 뜻 유래 - 제나라 안자
귤화위지(橘化爲枳)橘(귤 귤): 귤나무化(화할 화): 변하다爲(뒬 위): 되다枳(탱자 지): 탱자나무강남 귤을 감북에 심으면 탱자가 되듯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짐을 비유 (귤이 탱자가 된다는
124816.tistory.com
'고사성어 & 사자성어 &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감불원 殷鑑不遠 가까운 실패에서 배우는 지혜 (0) | 2024.11.11 |
---|---|
용호상박 龍虎相搏 강자들의 치열한 대결 (1) | 2024.11.10 |
망국지음 亡國之音 나라를 망하게 한 슬픈 음악의 전설 (1) | 2024.11.08 |
도탄지고 塗炭之苦 고통 속에서 피어난 (0) | 2024.11.07 |
오대십국 분열과 통일을 향한 혼돈의 시대 (0)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