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우지독 (老牛舐犢)
- 老(늙을 노): 나이가 많다, 늙은.
- 牛(소 우): 소, 우직한 동물.
- 舐(핥을 지): 핥다, 혀로 핥는 행위.
- 犢(송아지 독): 송아지, 어린 소.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모습을 비유하여, 부모가 자식을 지극히 사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유래
중국 삼국시대, 조조(曹操)가 한중(漢中) 전투에서 철수를 고민하던 때의 일화에서 이 성어가 유래했습니다. 조조는 '계륵(鷄肋)'이라는 군호를 통해 전쟁을 이어가는 것의 무의미함을 암시했지만, 이를 눈치챈 양수(楊修)를 처형합니다. 이후 양수의 아버지 양표(楊彪)는 아들을 잃고 슬픔에 잠겼습니다.
조조가 양표를 만나 이유를 묻자, 양표는 "아들을 잃은 슬픔이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마음과 같다"고 답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조조는 깊이 후회했다고 전해집니다.
'고사성어 & 사자성어 &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익이 사라지면 관계도 멀어진다 세리지교 勢利之交 (2) | 2024.12.02 |
---|---|
깊은 원한의 사무침, 원입골수 怨入骨髓 (0) | 2024.12.01 |
경이원지 敬而遠之 뜻 유래 (0) | 2024.11.29 |
평화로운 시절의 찬란함 태평연월 太平烟月 (0) | 2024.11.28 |
충성을 다하여 나라를 지키다 진충보국 盡忠報國의 정신 (0)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