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1 타산지석 他山之石 타인의 실수에서 배우는 지혜 타산지석(他山之石)他(다를 타): 다르다, 남의 것.山(메 산): 산.之(갈 지): ...의, 가다.石(돌 석): 돌.다른 산의 돌이라도 나의 옥을 가는 데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이나 실수도 자신을 반성하고 교훈을 얻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유래《시경(詩經)》의 '학명(鶴鳴)'은 소아(小雅) 편에 수록된 시로, 학(鶴)의 울음소리를 주제로 한 작품입니다. 이 시는 자연과 인간의 삶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며, 속세를 떠나 수양하는 선비의 모습과 내면의 성찰을 노래합니다.타산지석(他山之石)의 유래가 된 구절은 "他山之石, 可以攻玉"으로, "다른 산의 돌이라도 옥을 가는 데 유용하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는 하찮은 것이라도 적절히 사용하면 가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2024. 10. 24. 교각살우 矯角殺牛 작은 문제에 집착하다 큰 손해를 보다 교각살우(矯角殺牛)矯(바로잡을 교): 바로잡다, 교정하다.角(뿔 각): 소의 뿔.殺(죽일 살): 죽이다.牛(소 우): 소.뜻교각살우는 "쇠뿔을 바로잡으려다 소를 죽인다"는 의미로, 작은 잘못이나 결점을 고치려다가 지나치게 신경을 써서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일으키거나 손해를 보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 유래고대 중국에서는 제사에 사용할 종을 만들 때 소의 피를 바르는 풍습이 있었는데, 한 농부가 제사에 쓸 소의 뿔이 약간 휘어져 있는 것을 보고 이를 곧게 펴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너무 세게 묶어 고치려다가 결국 뿔이 뿌리째 뽑혀 소가 죽고 말았습습니다. 유의어소탐대실(小貪大失):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는다.교왕과직(矯枉過直): 잘못을 바로잡으려다 지나치게 하여 더 나쁘게 만듦. 2024. 10. 24. 난공불락 難攻不落 삼국지에서 온 철벽 방어의 상징 난공불락 (難攻不落)難(어려울 난): 어렵다.攻(칠 공): 공격하다.不(아닐 불): 아니다.落(떨어질 락): 떨어지다, 무너지다.공격하기 어렵고 함락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상황이나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거나 강력한 방어 체계를 갖추고 있는 상태를 표현합니다. 유래제갈량이 이끄는 촉군이 위나라의 진창성을 공격했을 때, 성을 수비하던 학소의 방어가 매우 견고했습니다. 제갈량은 여러 가지 전략을 사용해 성을 공략하려 했으나, 성의 방어 체계는 철저했고, 촉군은 결국 성을 함락시키지 못하고 물러났습니다. 그 후, 진창성은 "난공불락"의 성으로 유명해졌습니다. 유의어철옹성(鐵甕城): 방어가 매우 견고한 성.금성탕지(金城湯池): 쉽게 침범할 수 없는 요새. 반의어무방비(無防備): 방어할 수 있는 대비가 없는 상태. 2024. 10. 24. 금선탈각 金蟬脫殼 매미처럼 위기에서 벗어나는 지혜와 전략 금선탈각 (金蟬脫殼)金(쇠 금): 금속, 황금.蟬(매미 선): 매미.脫(벗을 탈): 벗다, 탈피하다.殼(껍질 각): 껍질.매미가 허물을 벗다라는 의미로, 위기의 순간에서 은밀하게 빠져나가거나 전략적으로 물러나 상황을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 곤란한 상황에서 상대방의 눈을 속이고 탈출하는 데 사용되는 계책을 나타낸다. 유래이 성어는 중국의 병법서 《삼십육계》 중 제21계로 등장한다. 전장에서 적의 추격을 피하기 위해 매미가 껍질을 남기고 빠져나가는 것처럼, 허세를 꾸며 실제로는 안전하게 철수하거나 재정비할 때 사용된 계책이다. 《서유기》에도 금선탈각이 등장해 변장과 위장을 통한 탈출의 사례로 사용되었다 유의어포전인옥(抱璞懷玉): 귀중한 것을 감추고 속임수를 쓰다.수상개화(水上開花): 물 위에 꽃을 피워 눈속.. 2024. 10. 24. 계란유골 鷄卵有骨 황희에게 온 계란 꾸러미 계란유골(鷄卵有骨)鷄(닭 계): 닭.卵(알 란): 알, 계란.有(있을 유): 있다, 존재하다.骨(뼈 골): 뼈.계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운이 나쁜 사람은 좋은 기회를 만나도 잘 안 풀린다는 의미를 가진다. 계란처럼 평범하고 무해한 것에도 뼈가 있는 듯한 예기치 않은 불운을 상징한다.계란에도 뼈가 있다로 해석되지만 특이하게 뼈 골에서 곯다의 음을 그대로 따서 '골'자를 사용한 경우라고 합니다. 그래서 계란이 곯았다고 합니다 (운이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일이 잘 안 풀린다) 유래이 고사성어는 조선시대 세종대왕과 명재상 황희의 일화에서 유래한다.황희가 매우 가난하자 세종은 장날에 한양의 대문으로 들어오는 모든 물건을 황희에게 보내주도록 명했다. 하지만 그날 비가 내려 물건이 거의 없었고.. 2024. 10. 23. 골육상쟁 骨肉相爭 갈등과 다툼 골육상쟁(骨肉相爭)骨(골): 뼈.肉(육): 살, 고기.相(상): 서로.爭(쟁): 다투다.뼈와 살이 서로 다투다라는 뜻으로, 형제나 가까운 혈족 사이의 싸움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이다. 주로 가족 간의 불화나 권력 다툼을 지칭하며, 친족 간의 극심한 갈등을 나타낸다. 유래이 성어는 고대 중국의 역사에서 자주 나타나는 형제 간의 왕위 다툼에서 유래되었다.예를 들어, 삼국지에서 조조의 두 아들인 조비와 조식이 왕위를 놓고 벌인 권력 다툼이 대표적 사례이다. 조비는 조식을 경쟁 상대로 여기고 견제하였으며, 조식은 시를 지어 목숨을 건질 수 있었지만 이후 정치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유의어동족상잔(同族相殘): 같은 민족이나 친족끼리 싸우는 것을 뜻함. 반의어관포지교(管鮑之交): 매우 친밀하고 우정이 깊은 관계를 .. 2024. 10. 23. 삼수갑산 三水甲山 삼수와 갑산 삼수갑산(三水甲山)三(셋 삼): 세 개.水(물 수): 물, 강.甲(갑옷 갑): 갑옷, 장갑.山(산 산): 산.매우 험난하고 극복하기 어려운 상황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조선시대 때 삼수(三水)와 갑산(甲山)은 험준한 산세와 혹독한 추위로 인해 대표적인 유배지였으며, 중죄인들이 살아 돌아오기 힘든 곳으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이로 인해 "삼수갑산에 가는 한이 있어도"라는 표현은 극한 상황에 처하더라도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유래삼수와 갑산은 모두 함경도의 험준한 지역으로, 개마고원에 위치하여 겨울철 혹독한 추위와 험난한 지형으로 유배자들에게 악명 높은 장소였습니다. 조선시대에 큰 죄를 지은 이들이 이곳으로 보내졌으며, 그곳에서 생존하기가 매우 어려웠습니다. 이로 인해 삼수갑산은 오늘날.. 2024. 10. 23. 결자해지 結者解之 문제 해결과 책임의 지혜 결자해지 (結者解之)結(맺을 결): 묶다, 결합하다.者(놈 자): 사람, 주체를 나타냄.解(풀 해): 풀다, 해결하다.之(갈 지): ~을, ~를 의미하는 지시어.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문제를 만든 사람이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책임감 있는 태도와 자기 행동에 대한 결과를 스스로 감당해야 한다는 교훈을 강조한다. 유래조선 인조 시기의 학자 홍만종이 쓴 《순오지》에서 "맺은 자가 그것을 풀고, 일을 시작한 자가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는 문구를 통해 결자해지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이는 불교의 인과응보 사상과도 연관이 있으며, 자신의 행동에 따라 결과가 돌아온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유의어자업자득(自業自得): 자신이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는 것.자승자박(自繩自縛).. 2024. 10. 23. 날이불치 涅而不緇 고치지 않는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삶의 태도 날이불치(涅而不緇)涅(검은 물들일 날): 검은 물에 담그다.而(말 이을 이): ~하면서, ~해도.不(아니 불): 아니다, 하지 않다.緇(검을 치): 검다, 검게 물들다.검은 물에 담가도 검게 물들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품과 인격이 고상하여 주변의 나쁜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어떤 어려움이나 나쁜 환경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을 지키는 강직한 마음을 표현합니다. 유래《논어(論語)》 〈양화(陽貨)〉 편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공자가 진나라의 대부 조씨(趙氏)의 가신인 필힐(佛肹)의 초청을 받았을 때, 제자 자로(子路)가 과거에 반란을 일으킨 필힐과의 접촉을 걱정하며 공자를 만류했습니다. 이에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단단하다고 하지 않겠는가? 갈아도 얇아지지 않는 것이고, 희다고 하지.. 2024. 10. 22. 이전 1 2 3 4 5 6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