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우4

이익이 사라지면 관계도 멀어진다 세리지교 勢利之交 세리지교 (勢利之交)勢(형세 세): 권세, 힘, 세력.利(이로울 리): 이익, 이로움.之(갈 지): ~의, ~에 해당하는.交(사귈 교): 사귀다, 교제하다.권세와 이익을 추구하여 맺어진 인간관계를 뜻하는 사자성어로, 이러한 관계는 권력이나 이익이 사라지면 쉽게 무너짐을 경계하는 표현입니다.유래장이와 진여는 초한전쟁 당시 항우와 협력하며 권세를 누렸지만, 그들의 관계는 권력 다툼과 이익 추구로 멀어졌습니다. 이는 권력과 이익이 인간관계의 본질을 흐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또한 사마천의 『사기(史記)』 급정열전(汲鄭列傳)에서는 급암과 정당시가 권세를 잃자 주변의 사람들이 그들을 멀리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권력과 이익에 따라 인간관계가 달라지는 세태를 비판합니다. 2024. 12. 2.
사면초가 四面楚歌 고립과 절망의 끝에서 울려퍼진 초나라의 노래 사면초가(四面楚歌)四(넉 사): 넷, 사방面(낯 면): 면, 방면楚(초나라 초): 초나라歌(노래 가): 노래 유래초나라의 패왕 항우는 아끼던 장수 범증마저 떠나고, 한나라 유방에게 눌려 협약을 맺고 동쪽으로 돌아가던 중, 말머리를 돌려 온 한나라 유방 명장 한신에게 해하에서 포위당하고 말았습니다.병력은 줄고 군량미 마저 얼마 남지 않았는데, 한군과 제후의 군사는 포위망을 점점 좁혀왔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가 들려왔습니다. 한나라가 항복한 초나라 병사들로 하여금 고향의 노래를 부르게 한 것이었습니다.항우는 많은 초나라 사람들의 노래에 이미 한나라에 초나라를 빼앗겼다고 생각하며 탄식을 하였습니다.항우는 진중에서 마지막 주연을 베풀면서 유명한 역발산기개세의 시를 지어 자신의 운명을 탄.. 2023. 6. 15.
권토중래 捲土重來 흙먼지 속에서 다시 일어나다 권토중래(捲土重來)捲(거둘 권): 말다, 거두다.土(흙 토): 땅, 흙.重(거듭 중): 다시, 거듭하다.來(올 래): 오다, 돌아오다.흙먼지를 일으키며 다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한 뒤에 힘을 모아 다시 도전함을 의미합니다. 패배나 좌절을 딛고 일어나 재기를 꾀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유래당나라 후기의 시인 '두목'이 오래전에 사라진 '항우'를 기리며 쓴 시이기고 짐은 병가의 일이라 알 수 없는 것모욕을 안고 수치를 이겨내는 것이 곧 사나이요강동의 젊은이 가운데 인재 또한 많으니흙먼지를 일으키는 기세로 일어났다면 결과는 알 수 없었으리라.강동은 항우의 고향'두목'은 한나라 유방과 최후의 결투를 벌인 오강에서 패하여 자살한 항우가 패전의 좌절을 딛고 훗날을 도모하였다면 다시 한번 패권을 .. 2023. 5. 16.
금의환향 金衣還鄕 금의야행 金衣夜行 항우의 영광과 비극이 교차한 귀향 금의환향(金衣還鄕)金(쇠 금): 금, 귀중한 금속.衣(옷 의): 옷, 의복.還(돌아올 환): 돌아오다, 돌아가다.鄕(마을 향): 고향, 시골.비단옷을 입고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성공하여 영광스럽게 고향에 돌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래항우와 반란군들이 진나라 수도 함양에 진입함으로써 진나라는 15년 만에 완전히 멸망하여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힘과 세력이 가장 강했던 항우는 반군 지휘관들로 부터 가장 높은 자리에 추대됩니다. 이때 항우의 참모 한생이라는 자가 간하고 나섰습니다. "관중은 뛰어난 요충지이자 비옥한 곳입니다. 이곳을 근거로 하면 천하를 통일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항우는 "성공하고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면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가는 것과 무엇이.. 2023.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