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공행상 (論功行賞)
- 論(논할 논): 논하다, 평가하다.
- 功(공 공): 공로, 업적.
- 行(행할 행): 행하다, 시행하다.
- 賞(상줄 상): 상을 주다, 보상하다.
공로의 크고 작음을 논하여 합당한 상을 내린다
이괄의 난
이괄의 난은 1624년(인조 2년)에 이괄이 조선 왕가 종실 흥안군 이제를 왕으로 추대하면서 일으킨 반란입니다.
이괄은 인조반정의 공이 컸음에도 논공행상에서 2등 공신으로 책봉되고 아들과 동생은 제외되고 이후 반란을 일으키려 한다는 무고까지 당했습니다. 하지만 역모의 단서를 찾지 못하자 이괄의 아들 이전을 압송해 조사하려 하자 이괄은 난을 일으켜 한양까지 함락시켰습니다
이괄의 난은 조선 내란으로는 처음으로 왕을 도성에서 피란시킨 전무후무한 난이라고 합니다.
견문발검 見蚊拔劍 뜻과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견문발검(見蚊拔劍)견(見): 볼 견문(蚊): 모기 문발(拔): 뽑을 발검(劍): 칼 검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는 뜻으로, 아주 사소한 일에 과하게 대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노승
124816.tistory.com
감언이설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감언이설(甘言利說)甘(감): 달 감言(언): 말씀 언利(이): 이로울 리說(설): 말씀 설달콤한 말과 이로운 말 (상대를 현혹하기 위해 달콤한 말과 이득이 될만한 말로 속인다)유래중국 역사상 최악의
124816.tistory.com
'고사성어 & 사자성어 &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침안면 高枕安眠 편안한 마음으로 고단함을 내려놓는 지혜 (0) | 2024.10.21 |
---|---|
공전절후 空前絶後 뜻 유래 - 목란 (뮬란) (0) | 2024.10.19 |
경천동지 驚天動地 진천동지 震天動地 뜻 (0) | 2024.10.18 |
감언이설 甘言利說 뜻 유래 - 이임보 (0) | 2024.10.18 |
구밀복검 口蜜腹劍 뜻 유래 - 이임보 (1) | 202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