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 사자성어 & 그 외175

결초보은 結草報恩 죽어서도 은혜를 갚는다 결초보은 (結草報恩)結(맺을 결): 묶다, 맺다.草(풀 초): 풀, 잔디.報(갚을 보): 갚다, 보답하다.恩(은혜 은): 은혜, 감사한 마음.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죽어서도 잊지 않고 은혜를 갚는다는 의미입니다. 깊은 은혜나 은혜를 입은 사람에 대한 고마움을 죽어서도 잊지 않고 보답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합니다. 유래춘추시대 진(晉 나아갈 진) 나라 대부 위무에게는 애첩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병석에 눕게 된 위무는 아들 위과를 불러 자신이 죽으면 애첩을 재가시키라고 말하였습니다. 그러나 위독해진 위무는 정신이 오락가락해지자 말을 바꾸어 자신이 죽으면 애첩도 함께 묻으라고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습니다.돌아가신 아버지께서 남기신 전혀 다른 두 유언 사이에서 고민하던 위과는 애첩을 순장하는 대신.. 2023. 4. 25.
이도살삼사 二桃殺三士 두 개의 복숭아로 세 무사를 제압한 계책 이도살삼사 (二桃殺三士)二 (두 이): 둘, 두 개.桃 (복숭아 도): 복숭아.殺 (죽일 살): 죽이다, 해치다.三 (셋 삼): 셋, 세 명.士 (선비 사): 선비, 무사.두 개의 복숭아로 세 명의 무사를 죽인다. 작은 일이나 계책으로 상대를 간단히 무너뜨리거나 제거한다는 의미이다. 유래안자춘추 간하편에 나오는 말이라고 한다제나라 경공 곁에는 공손접, 전개강, 고야자 세명의 호위 무사가 있었는데 이들은 무예가 높고 기개가 세상을 뒤엎을 만해서 경공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고 한다이들 세명은 성은 달랐으나 의형제처럼 지내며 위세를 과시하며 관원들을 안중에 두지도 않았고, 심지어 재상인 안영에게도 오만 방자하게 굴었다고 한다이들의 행동에 안영은 훗날 화근이 되겠다고 판단해 경공에게 이들을 제거하도록 권한다안영.. 2023. 4. 19.
삼성가노 三姓家奴 여포의 배신과 변덕을 비웃는 삼성가노 (三姓家奴)三(석 삼): 셋, 세 가지.姓(성 성): 성씨.家(집 가): 집안.奴(종 노): 종, 노비.세 개의 성을 가진 종이라는 뜻으로, 중국의 《삼국지연의》에서 유래한 멸칭입니다. 장비가 여포를 조롱하며 사용한 표현으로, 여포가 두 명의 양아버지(정원, 동탁)와 혈통이 얽히면서 본래 성인 여(呂), 정(丁), 동(董) 세 가지 성을 가지게 된 것을 비하한 것입니다 유래여포는 처음에는 본래 성씨인 여씨였으나, 정원과 동탁을 차례로 양아버지로 모시면서 성씨가 세 번 바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장비가 호로관 전투에서 여포를 비난할 때 "삼성가노"라고 불렀습니다. 이는 여포의 변덕스러운 충성심과 배신을 풍자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여포의 다른 호칭인중여포 : 호로관 전투에서 여포의.. 2023. 4. 18.
갈이천정 渴而穿井 뜻 유래 - 목이 말라야 비로소 우물을 판다 갈이천정 (渴而穿井)갈 (渴): 목마를 갈이 (而): 말 이을 이 (그리고, ~해서)천 (穿): 뚫을 천정 (井): 우물 정목이 말라야 비로소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하지 않고 있다가 일이 닥치고서야 서둘러도 소용이 없음을 의미중국 춘추전국시대 의 내편잡상에 나오는 고사로, 노나라 소공이 제나라로 도망쳐 몸을 의탁한 일이 있었다. 제나라 경공이 하루아침에 권자에서 물러나 초라한 신세에 놓인 연유를 소공에게 묻자.소공은 지난날을 후회하며 "자신을 보좌할 충신은 등용치 않고 주변에 간신과 소인배만 두었기 때문이다. 권좌에 있을 때는 누가 충신인지 몰랐으나 모든 걸 잃고 나니 비로소 알게 됐다.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제는 바른 정치를 할 수 있겠다"라고 말했다 경공은 이 말을 듣고 소공이 자신의 과오를.. 2023. 4. 17.
의기양양 意氣揚揚 마부의 자만과 깨달음 의기양양 (意氣揚揚)意(뜻 의): 뜻, 생각氣(기운 기): 기운, 활기揚(날릴 양): 드높이다, 뽐내다揚(날릴 양): 드높이다, 뽐내다의기양양은 원하던 바를 이루어 매우 만족하며 자랑스러워하는 모습을 뜻합니다. 유래의기양양은 춘추시대 제나라의 명재상 안영과 그의 마부와 관련된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 안영의 마부는 말을 몰면서 매우 자랑스러운 태도를 보였는데, 이를 본 그의 아내는 마부가 남의 일을 하면서도 스스로를 우쭐해하는 모습에 실망합니다. 이 일로 마부는 교만을 반성하고 겸손하게 태도를 바꿨고, 안영은 그를 칭찬하며 후에 대부로 천거하였습니다. 유의어득의양양(得意揚揚): 뜻한 바를 이루어 기세등등함.심만의족(心滿意足): 마음속으로 만족해함.주저만지(躊躇滿志): 뜻을 이루고 기뻐함. 반의어의기소침(意.. 2023. 4. 16.
병가지상사 兵家之常事 뜻 유래 - 병법을 다루는 사람에게 있어 흔한 일 병가지상사 (兵家之常事)兵 (군사 병): 병사, 군사家 (집 가): 집, 전문가之 (갈 지): ~의 (관형격 조사)常 (항상 상): 항상, 늘事 (일 사): 일, 사건이기기도 하고 지기도 하는 것은 항상 있는 일이다 일에 성공과 실패가 있으므로 승패에 개의치 말고 최선을 다하라는 뜻실수나 잘못은 흔히 있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한번 실수는 병가지상라' 라는 말로 자주 쓴다.승패병사지상사勝 이길 승, 覇 패할 패, 兵 군사 병, 家 집 가, 之 갈 지, 常 항상 상, 事 일 사중국 당나라 때 배도전에 이기고 지는 것은 병가에서 항상 있는 일이다라는 헌종의 승패병가지상사에서 유래되었다. - 헌종 때 오원제라는 장수가 일으킨 반란군에게 진압군이 패하자 헌종은 이기고 지는 것은 병가에게 항상 있는 일이다며 강.. 2023.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