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조4

부모의 깊은 사랑, 노우지독 老牛舐犢 노우지독 (老牛舐犢)老(늙을 노): 나이가 많다, 늙은.牛(소 우): 소, 우직한 동물.舐(핥을 지): 핥다, 혀로 핥는 행위.犢(송아지 독): 송아지, 어린 소.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모습을 비유하여, 부모가 자식을 지극히 사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유래중국 삼국시대, 조조(曹操)가 한중(漢中) 전투에서 철수를 고민하던 때의 일화에서 이 성어가 유래했습니다. 조조는 '계륵(鷄肋)'이라는 군호를 통해 전쟁을 이어가는 것의 무의미함을 암시했지만, 이를 눈치챈 양수(楊修)를 처형합니다. 이후 양수의 아버지 양표(楊彪)는 아들을 잃고 슬픔에 잠겼습니다.조조가 양표를 만나 이유를 묻자, 양표는 "아들을 잃은 슬픔이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마음과 같다"고 답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조조는 .. 2024. 11. 30.
매림지갈 梅林止渴 갈증을 해소하는 지혜와 임시방편의 교훈 매림지갈 (梅林止渴)梅(매화나무 매): 매화나무를 의미함.林(수풀 림): 숲이나 수풀을 뜻함.止(그칠 지): 멈추다, 그치다.渴(목마를 갈): 갈증, 목마름.매화나무 숲에서 갈증을 해소한다는 뜻으로, 일시적인 대용품으로도 일단 급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음을 비유한다. 또한, 긍정적인 자기암시로 위기를 극복하거나 거짓된 정보로 임시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를 나타내기도 한다. 유래매림지갈은 삼국지의 위나라 조조(曹操)와 관련된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어느 한여름, 조조의 군대는 행군 중 물이 부족하여 병사들이 극심한 갈증에 시달렸습니다. 이때 조조는 병사들을 격려하기 위해 "앞쪽에 매화나무 숲이 있어 매실이 주렁주렁 열려 있다"며 조금만 더 참으면 갈증을 풀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매실의 신맛을 상.. 2023. 6. 19.
고육지책 苦肉之策 몸을 던진 극단의 계책, 적벽대전의 승부수 고육지책(苦肉之策)苦(쓸 고): 괴롭고 고통스럽다.肉(고기 육): 살, 고기.之(갈 지): ~의, ~하는.策(꾀 책): 계책, 방법.자신의 몸을 수단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계략 (어려운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어쩔 수 없이 하는 계책으로 고육지계 苦肉之計 라고도 한다) 고육지계(苦肉之計)苦(쓸 고): 괴로움이나 고통을 뜻함.肉(고기 육): 살, 고기를 의미함.之(갈 지): ~의, ~하는 것.計(셀 계): 계책, 계획을 나타냄.고육지계는 자신의 몸에 고통을 주는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계책을 의미합니다. 위기 상황에서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 극단적인 전략입니다. 유래《삼국지연의》후한 말 오나라의 손권과 형주의 유비가 연합하여 위나라 조조의 대군을 맞아 싸운 .. 2023. 6. 4.
망매지갈 望梅止渴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망매지갈(望梅止渴)望 (바랄 망): 바라다, 기대하다.梅 (매화 매): 매실나무, 매화.止 (그칠 지): 멈추다, 그치다.渴 (목마를 갈): 갈증, 목마름.매실을 바라보며 갈증을 해소한다 (공상으로 마음의 위안을 얻는다)유래어느 여름 조조가 부대원을 이끌고 적군 토벌에 나섰습니다. 날씨는 찌는 듯이 무더웠습니다. 태양은 이글거리고 하늘엔 구름 한 점 없었습니다. 무더운 날씨에 행군 도중 물까지 떨어져 부하들은 갈증에 시달렸습니다. 이를 보던 조조에게 묘안이 떠 올랐습니다. 그리고 병사들에게 건너편 산을 가리키며 "조금만 더 가면 아주 탐스럽고 맛 좋은 매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이 산골짜기만 넘어가면 바로 매실 숲이 있다"라고 병사들을 독려하였습니다. 그 말을 들은 군사들은 마치 새콤달콤한 매실을 맛.. 2023.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