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사자성어 & 그 외175 각립대좌 角立對坐 대립하여 맞서는 팽팽한 상황 각립대좌(角立對坐)角(뿔 각): 뿔, 대립하다.立(설 립): 서다, 일어나다.對(대할 대): 마주하다, 대하다.坐(앉을 좌): 앉다.서로 대립하여 맞서서 버티고 있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의견이나 입장이 대치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유래중국 고대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두 사람이 각자 자신의 입장을 굽히지 않고 맞서서 다투는 상황을 묘사하는 데서 나온 표현으로, 현재까지도 서로 양보하지 않고 팽팽하게 맞서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유의어대립각(對立角): 서로의 입장이나 의견이 서로 맞서 대립하는 경우를 말합니다.백중지세(伯仲之勢): 두 사람 또는 두 세력의 실력이 서로 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상황을 의미합니다. 반의어화해(和解): 서로 대립하던 입장이나 갈등을 풀고 .. 2023. 5. 11. 천고마비 뜻 유래 추고새마비 천고마비 (天高馬肥)天 (하늘 천): 하늘.高 (높을 고): 높다.馬 (말 마): 말.肥 (살찔 비): 살찌다.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 (풍요로운 가을을 표현합니다)유래은나라 때부터 중국 북방에 나타나기 시작한 흉노족은 중국의 각 왕조나 백성들에게는 공포와 증오의 대상이었다고 합니다.척박한 초원을 생활 근거지로 하여 유목 생활을 하는 그들의 가장 강점은 말을 이용한 기동력으로 국경을 넘어 들어와 중국 북쪽 변경 일대를 휘저으며 약탈을 자행하고는 다시 달아나는 것이었습니다.그래서 고대 중국의 군왕들은 흉노의 침입에 대처하기 위해 북쪽 변경에다 장성을 쌓았고, 천하통일을 이룩한 시황제는 그 장성을 증축하고 연결하여 만리장성을 완성했던 것입니다.하지만 만리장성도 흉노의 침입을 막기에는 역 부족이었습니다. 너.. 2023. 5. 11. 순망치한 脣亡齒寒 관계의 중요성을 되새기다 순망치한(脣亡齒寒)脣(입술 순): 입술.亡(망할 망): 망하다, 사라지다.齒(이 치): 이, 치아.寒(찰 한): 차갑다, 춥다.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어 한쪽이 망하면 다른 쪽도 위험해진다는 의미입니다. 유래춘추시대 말 진나라 헌공은 괵나라를 공격할 야심을 품고 우공에게 우나라 땅을 지나도록 허락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우나라의 현인 궁지기는 헌공의 속셈을 알고 우왕에게 간언했습니다. "괵나라와 우나라는 한 몸이나 다름없는 사이오라 괵나라가 망하면 우나라도 망할 것이옵니다. 옛 속담에도 수레의 짐받이 판자와 수레는 서로 의지하고,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리다고 했습니다. 이는 바로 괵나라와 우나라의 관계를 말한 것입니다 결코 길을 빌려주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그러나.. 2023. 5. 10. 무릉도원 武陵桃源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무릉도원 (武陵桃源)武(호반 무): 무릉, 지명.陵(언덕 릉): 언덕.桃(복숭아 도): 복숭아.源(근원 원): 근원, 샘.복숭아나무가 있는 언덕 (이 세상이 아닌 것처럼 아름다운 곳) 유래중국 진나라 때 무릉이라는 곳에 한 어부가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작은 산 하나를 발견하고 그 산 아래에 작은 동굴이 뚫려있는 것을 보았습니다.동굴 안에는 연분홍빛으로 피어 있는 복숭아꽃, 그 사이사이 자그마한 집들이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답게 펼쳐져 있었습니다.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아주 먼 옛날, 전쟁을 피해 그곳으로 숨은 사람들 있었습니다. 어부는 마을 사람들에게 극진한 대접을 받으며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어느덧 떠날 때가 된 어부는 마을 사람들과 작별 인사를 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하지 .. 2023. 5. 10. 마이동풍 馬耳東風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마이동풍 (馬耳東風)馬(말 마): 말.耳(귀 이): 귀.東(동쪽 동): 동쪽.風(바람 풍): 바람.말의 귀를 스치는 동풍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린다,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는다) 유래중국 당나라의 시인 이백에게 왕십이라는 절친한 친구가 편지에 시 한 구절을 써서 보내왔습니다.추운 밤, 나는 혼자서 술을 마시고 있다네. 그러자니 느껴지는 것이 참 많네.친구의 글을 읽은 이백은 서글퍼졌습니다. 왕십이가 보낸 짧은 글이 무슨 뜻인 줄 알았기 때문입니다. 그 시절엔 싸움을 잘하고 오랑캐와 싸워 작은 공이라도 세워야 훌륭한 사람이라고 인정받았기 때문입니다.이백은 슬퍼하며 친구 왕십이에게 답장을 적어 보냈습니다.친구 우리네 시인들이 아무리 좋은 시를 짓더라도 이 세상 속물들은 그것을 알아주지 않는다네.라는 .. 2023. 5. 9. 가도벽립 家徒壁立 가난의 상징 가도벽립(家徒壁立)家(집 가): 집, 가정.徒(무리 도): 헛되다, 단지.壁(벽 벽): 벽, 담.立(설 립): 서다, 세우다.집 안에 아무것도 없고 벽만 서 있을 정도로 가난함을 뜻하는 고사성어입니다. 가난하여 재산이나 살림살이가 전혀 없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유래한나라 때의 문인 사마상여는 학문이 뛰어나고 음률에도 조예가 깊어 거문고를 잘 타는 사람이었으나, 집이 가난하여 결혼을 못 하고 있었습니다.오랜 고향 친구인 왕길은 사마상여의 처지를 딱하게 여겨 도와주려고 하였습니다. 이에 사마상여는 도움은 고맙지만 내 처지가 가도벽립인데 무슨 수로 장가를 갈 수 있겠는가?라고 낙담하였습니다그러자 왕길은 꾀를 내어 사마상여에게 수단을 일러 준 다음 탁왕손이라는 부잣집으로 데려갔습니다.사마상여는 남편과.. 2023. 5. 8.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