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0

계포일낙 季布一諾 신뢰의 가치를 보여주는 한 마디 약속 계포일낙(季布一諾)季(계절 계): 계절, 막내布(베 포): 펼치다, 베풀다一(한 일): 하나, 첫 번째諾(대답할 낙): 승낙하다, 허락하다 유래초나라의 명장 계포는 항우가 죽은 뒤, 한 고조 유방을 섬긴 무장으로 일단 승낙한 일은 틀림없이 실행한다고 하여 초나라 사람들은 '황금 백 근을 얻는 것보다 계포의 일낙을 얻는 것이 낫다'라고 한 일에서 생긴 말 항우의 패망초나라 계포는 젊었을 때부터 의협심이 강해 한번 좋다고 약속하면 끝까지 지켰습니다. 계포는 항우의 장수로서 출전해 유방을 몇 번이나 괴롭혔지만 항우가 패망하고는 계포의 목에 천금의 현상금이 걸려 쫓기는 몸이 되었습니다.유방에 천거쫓기는 계포였지만 누구 하나 그를 고발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유방에게 천거까지 되어 사면과 동시에 벼슬까지 올랐습니다... 2023. 6. 5.
고육지책 苦肉之策 몸을 던진 극단의 계책, 적벽대전의 승부수 고육지책(苦肉之策)苦(쓸 고): 괴롭고 고통스럽다.肉(고기 육): 살, 고기.之(갈 지): ~의, ~하는.策(꾀 책): 계책, 방법.자신의 몸을 수단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계략 (어려운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어쩔 수 없이 하는 계책으로 고육지계 苦肉之計 라고도 한다) 고육지계(苦肉之計)苦(쓸 고): 괴로움이나 고통을 뜻함.肉(고기 육): 살, 고기를 의미함.之(갈 지): ~의, ~하는 것.計(셀 계): 계책, 계획을 나타냄.고육지계는 자신의 몸에 고통을 주는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계책을 의미합니다. 위기 상황에서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 극단적인 전략입니다. 유래《삼국지연의》후한 말 오나라의 손권과 형주의 유비가 연합하여 위나라 조조의 대군을 맞아 싸운 .. 2023. 6. 4.
박학다식 博學多識 반신반의 半信半疑 심사숙고 深思熟考 뜻 박학다식(博學多識)博(넓을 박): 넓다, 광범위하다.學(배울 학): 배우다, 학문.多(많을 다): 많다.識(알 식): 알다, 지식.학문이 넓고 지식이 많다는 의미로,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고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냄. 반신반의(半信半疑)半(반 반): 절반, 중간.信(믿을 신): 믿다, 신뢰하다.半(반 반): 절반, 중간.疑(의심할 의): 의심하다, 불신.절반은 믿고 절반은 의심한다는 의미로, 어떤 사실이나 이야기를 완전히 믿지 못하고 반신반의하는 태도를 나타냄. 심사숙고(深思熟考)深(깊을 심): 깊다, 철저하다.思(생각 사): 생각하다, 사색하다.熟(익을 숙): 익다, 충분히.考(생각할 고): 생각하다, 숙고하다.깊이 생각하고 충분히 고찰한다는 의미로, 어떤 일이나 문제에 대해 신중하게 고민하고.. 2023. 6. 3.
절차탁마 切磋琢磨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절차탁마(切磋琢磨)切(끊을 절): 끊다, 자르다.磋(갈 차): 갈다, 다듬다.琢(쫄 탁): 쫄다, 깎다.磨(갈 마): 갈다, 문지르다.끊고 닦고 쪼고 다듬는다 (학문이나 인격을 갈고닦음) 유래논어(論語) 《학이편 (學而篇)》자공(子貢)이 공자에게 물었습니다. "가난해도 아첨하는 일이 없고, 부자여도 교만하는 일이 없으면 어떻습니까?" 옳은 일이긴 하나 가난해도 도를 즐기고 부자여도 예를 좋아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다시 자공은 "시경(詩經)에 선명하고 아름다운 군자는 뼈나 상아를 잘라서 줄로 간 것처럼 또한 옥이나 돌을 쪼아서 모래로 닦은 것처럼 빛나는 것 같다"라고 나와 있는데 이는 선생님이 말씀하신 수양에 수양을 쌓아야 한다. 는 것을 말한 것입니까? 이에 공자는 자공아 이제 너와 함께 시경을 말할 수.. 2023. 6. 2.
와신상담 臥薪嘗膽 고난을 이겨내는 끈기와 복수의 다짐 와신상담(臥薪嘗膽)臥(누울 와): 눕다, 쉬다.薪(섶 신): 장작, 땔감.嘗(맛볼 상): 맛보다, 경험하다.膽(쓸개 담): 쓸개, 담력.땔나무 위에 눕고 쓸개를 맛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난을 참고 견디어 심신을 달련함) 유래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인접한 오나라와 월나라는 앙숙지간으로 오나라 왕인 합려는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갔지만 월나라 왕 구천에게 크게 패하고 월나라 장군 여고부에게 맞은 화살의 상처가 악화되어 죽게 됩니다.합려는 죽기 전에 아들 부차에게 반드시 원수를 갚아 달라는 유언을 남깁니다.그 후로 부차는 아버지의 복수를 잊지 않기 위해 아침저녁으로 가시 많은 땔나무 위에 누워 자면 자신의 방을 드나드는 신하에게 "부차야! 너는 구천이 너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라고 외.. 2023. 5. 31.
검려지기 黔驢之技 보잘것없는 재주를 드러내 망신당하다 검려지기(黔驢之技)黔(검을 검): 검다, 지방 이름 검주.驢(나귀 려): 당나귀.之(갈 지): ~의, ~의 것.技(재주 기): 솜씨, 기량.검주에 사는 당나귀의 재주 (보잘것없는 기량을 들켜 비웃음 산다) 유래옛날 중국 검주에는 당나귀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 지방 사람 하나가 멀리 여행을 떠났다가 고향으로 돌아오면서, 당나귀 한 마리를 배로 실어 왔습니다. 그런데 호기심으로 당나귀를 사 오긴 했지만 어떻게 키워야 하는지 무엇을 먹여야 될지 몰라 산 아래 풀어놓고 기르기로 했습니다.그런데 당나귀를 풀어놓은 산에는 호랑이도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산속을 어슬렁거리던 호랑이가 처음 보는 당나귀의 자기보다 큰 덩치에  놀랐습니다. 호랑이는 숲 속에 몸을 숨기고 당나귀를 가만히 관찰하였습니다.하지만 이것이 .. 2023.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