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1

마이동풍 馬耳東風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마이동풍 (馬耳東風)馬(말 마): 말.耳(귀 이): 귀.東(동쪽 동): 동쪽.風(바람 풍): 바람.말의 귀를 스치는 동풍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린다,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는다) 유래중국 당나라의 시인 이백에게 왕십이라는 절친한 친구가 편지에 시 한 구절을 써서 보내왔습니다.추운 밤, 나는 혼자서 술을 마시고 있다네. 그러자니 느껴지는 것이 참 많네.친구의 글을 읽은 이백은 서글퍼졌습니다. 왕십이가 보낸 짧은 글이 무슨 뜻인 줄 알았기 때문입니다. 그 시절엔 싸움을 잘하고 오랑캐와 싸워 작은 공이라도 세워야 훌륭한 사람이라고 인정받았기 때문입니다.이백은 슬퍼하며 친구 왕십이에게 답장을 적어 보냈습니다.친구 우리네 시인들이 아무리 좋은 시를 짓더라도 이 세상 속물들은 그것을 알아주지 않는다네.라는 .. 2023. 5. 9.
가도벽립 家徒壁立 가난의 상징 가도벽립(家徒壁立)家(집 가): 집, 가정.徒(무리 도): 헛되다, 단지.壁(벽 벽): 벽, 담.立(설 립): 서다, 세우다.집 안에 아무것도 없고 벽만 서 있을 정도로 가난함을 뜻하는 고사성어입니다. 가난하여 재산이나 살림살이가 전혀 없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유래한나라 때의 문인 사마상여는 학문이 뛰어나고 음률에도 조예가 깊어 거문고를 잘 타는 사람이었으나, 집이 가난하여 결혼을 못 하고 있었습니다.오랜 고향 친구인 왕길은 사마상여의 처지를 딱하게 여겨 도와주려고 하였습니다. 이에 사마상여는 도움은 고맙지만 내 처지가 가도벽립인데 무슨 수로 장가를 갈 수 있겠는가?라고 낙담하였습니다그러자 왕길은 꾀를 내어 사마상여에게 수단을 일러 준 다음 탁왕손이라는 부잣집으로 데려갔습니다.사마상여는 남편과.. 2023. 5. 8.
가도멸괵 假途滅虢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가도멸괵(假途滅虢)假(거짓 가): 빌리다, 임시로 하다.途(길 도): 길, 도로.滅(멸할 멸): 멸하다, 없애다.虢(나라 이름 곽): 나라 이름, 옛 중국의 작은 제후국 이름.우나라 길을 빌려 괵나라를 친다 - 속셈을 감추고 적을 기습하는 계책 괵나라는 중국 주나라 문왕의 아우 괵중이 세운 제후국으로 진나라에 의해 멸망한 나라 유래춘추시대 진나라의 헌공이 괵나라로 쳐들어가려고 순식에게 의견을 물었습니다. 이에 순식은 '괵나라로 가려면 우나라를 통과해야 하니 우나라왕에게 옥과 말을 보내 길을 빌려달라고 해야 합니다'라고 합니다헌공은 순식의 계략에 따라 우나라로 옥과 말을 보냅니다.우나라 왕은 재상인 궁지기와 논의를 하였습니다. 이에 궁지기는 왕에게 '진나라는 괵나라를 멸망시킨 뒤 우나라도  쳐들어 올 것이.. 2023. 5. 8.
침소봉대 針小棒大 청출어람 靑出於藍 쾌도난마 快刀斷麻 뜻 침소봉대 (針小棒大)針(침): 바늘을 의미.小(소): 작다.棒(봉): 몽둥이를 뜻함.大(대): 크다.작은 일을 크게 부풀려 말함을 의미합니다. 바늘같이 작은 것을 몽둥이처럼 크다고 이야기한다는 뜻에서 비롯되었으며, 흔히 사소한 사건을 과장하거나 불필요하게 확대하는 상황에 쓰입니다. 청출어람 (靑出於藍)靑(푸를 청): 푸르다, 청색.出(날 출): 나오다, 출현하다.於(어조사 어): ~에서, ~보다.藍(쪽 람): 쪽풀, 인디고 염료.푸른색이 쪽에서 나왔으나 쪽보다 더 푸르다는 의미로, 제자가 스승을 능가하거나 후배가 선배보다 뛰어난 경우를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이는 계속된 학습과 노력이 더 나은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쾌도난마(快刀斷麻)快(쾌할 쾌): 시원하다, 즐겁다.刀(칼 도): 칼.斷(끊.. 2023. 5. 8.
삼강오륜 뜻 내용 간단히 알아보기 삼강오륜(三綱五倫) 三(석 삼): 셋, 세 가지綱(벼리 강): 큰 줄기, 기본이 되는 것五(다섯 오): 다섯倫(인륜 륜): 윤리, 인간의 도리 삼강1. 군위신강 : 임금과 신하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 君 임금 군, 爲 할 위, 臣 신하 신, 綱 벼리 강2. 부위자강 : 아비(부모)와 자식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 父 아비 부, 爲 할 위, 子 자식 자, 綱 벼리 강3. 부위부강 : 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 夫 아비 부, 爲 할 위, 婦 지어미 부, 綱 벼리 강 오륜1. 군신유의 :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한다. 君 임금 군, 臣 신하 신, 有 있을 유, 義 의리 의2. 부자유친 : 아비(부모)는 자식에게 친함이 있어야 한다. 父 아비 부, 子 자식 자, 有 있을 유, 親 친할.. 2023. 5. 7.
조삼모사 朝三暮四 간사한 꾀로 사람을 현혹하다 조삼모사(朝三暮四)朝(아침 조): 아침, 이른 시간.三(셋 삼): 숫자 3.暮(저물 모): 저녁, 해가 질 때.四(넷 사): 숫자 4.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알고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 또는 잔꾀로 상대방을 현혹하는 모습) 여러 가지 패러디가 많이 있는 고사성어 중에 하나입니다 유래전국 시대 송나라에 원숭이를 좋아하여 키우는 저공이란 사람이 있었습니다. 원숭이를 너무 좋아해 수십 마리를 키우며 지내다 보니 원숭이와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합니다.그런데 넉넉하지 못한 형편에 원숭이를 키우는 저공은 먹이를 절약해서 주었지만 원숭이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먹이가 동이 나고 도토리만 남았지만 그 마저도 넉넉하지 못했습니다.이에 저공은 원숭이들을 모아 놓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 2023. 5. 7.
새옹지마 塞翁之馬 인생의 길흉화복 새옹지마(塞翁之馬)塞(변방 새): 요새, 변방.翁(늙은이 옹): 노인, 늙은이.之(갈 지): ~의, ~에.馬(말 마): 말.변방에 사는 늙은이의 말 (변화 많은 세상일 미리 좋고, 나쁨을 예측할 수 없다는 말) 유래중국 변방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노인이 기르던 말이 국격을 넘어 오랑캐 땅으로 도망쳤습니다. 이에 이웃 주민들이 위로의 말을 전하자 노인은 "이 일이 좋은 일이 될지 누가 알겠소"라며 태연하게 말했습니다.며칠 후, 노인의 도망쳤던 말이 오랑캐땅의 암말 한 필과 함께 돌아왔습니다. 주민들은 노인에게 축하의 말을 하였습니다. 그러자 노인은 태연하게 "이게 화가 될지 누가 알겠소"라고 말했습니다.다시 며칠 후 노인의 아들이 오랑캐 땅에서 온 말을 길들이다가 낙마하여 그만 다리가 부.. 2023. 5. 5.
어부지리 漁夫之利 조개와 도요새의 다툼 어부지리 (漁夫之利)漁(고기잡을 어): 고기 잡다.夫(사내 부): 지아비, 남자.之(갈 지): …의.利(이로울 리): 이익.두 사람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쉽게 이익을 얻는 상황을 가리키는 고사성어입니다. 즉, 상대의 갈등 속에서 노력을 들이지 않고 이득을 챙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래전국책, 연책에서 비롯되었다.전국시대 제나라와 싸우면 기근까지 든 연나라를 조나라가 치려하자, 연나라왕의 부탁을 받은 소대는 조나라 혜문왕을 찾아가 설득하였습니다.제가 이곳으로 오는 길에 역수를 지나게 되었습니다. 마침 강변에 민물조개가 나와 햇볕을 쪼이며 입을 벌리고 있는데, 이를 본 도요새가 조갯살을 쪼아버렸습니다. 이에 깜짝 놀란 조개도 입을 다물어 버려 도요새는 주둥이를 물리고 말았습니다.조개에 물린 도요새는 생각.. 2023. 5. 5.
각주구검 刻舟求劍 변화에 둔감한 어리석음 각주구검(刻舟求劍)刻(새길 각): 새기다, 조각하다.舟(배 주): 배.求(구할 구): 구하다, 찾다.劍(칼 검): 칼.배에 새겨(표시해) 놓고 칼을 찾는다는 뜻으로, 상황의 변화는 고려하지 않고 옛날 방식이나 고정된 생각만 고집함을 비유하는 말. 시대나 환경이 변해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과거의 방식을 고수하는 어리석음을 지적할 때 사용된다. 유래여씨춘추, 찰금에 나오는 우화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전국시대 초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그만 실수로 들고 있던 소중한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고 말았습니다.잠시 망설이던 칼 주인은 무언가 생각이 났는지 단검을 꺼내어 들고 칼을 떨어트린 뱃전에 칼자국을 내어 표시를 하였습니다. 칼이 떨어진 자리에 표시를 해두었으니 찾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에서였습니다... 2023.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