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1

감탄고토 甘呑苦吐 달콤함은 삼키고 쓴맛은 뱉어내는 이기심의 민낯 감탄고토(甘呑苦吐)甘(달 감): 달다, 즐겁다.呑(삼킬 탄): 삼키다, 받아들이다.苦(쓸 고): 쓰다, 고통스럽다.吐(토할 토): 뱉다, 내놓다.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의미로, 자신의 이익에 따라 행동하는 이기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유리하면 받아들이고 불리하면 버리는 변덕스러운 사람의 태도를 비유할 때 사용된다. 유래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이 저술한 이담속찬에서 달게 먹던 것도 이익이 없으면 쓰다고 뱉는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 속담을 통해 사람이 이득에 따라 태도가 쉽게 변할 수 있음을 풍자한다 유의어토사구팽(兔死狗烹): 필요할 때는 이용하고 쓸모가 없어지면 버린다는 뜻.견리망의(見利忘義):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는다는 의미.배은망덕(背恩忘德): 받은 은혜를 잊고 배반함. 반의어초지일관(初志一貫): .. 2023. 5. 3.
건곤일척 乾坤一擲 운명을 건 단 한 번의 승부 건곤일척(乾坤一擲)乾(하늘 건): 하늘, 건조함.坤(땅 곤): 땅, 대지.一(한 일): 하나, 일회.擲(던질 척): 던지다, 내던지다.하늘이냐 땅이냐를 (주사위를) 한번 던져서 결정한다 (운명과 흥망을 하늘에 맡기고 일을 결행한다는 의미 또는 오직 이 한 번에 흥망성쇠가 걸려있는 일 유래홍구는 하남성에 있는 운하(강)로 초나라의 항우와 한나라의 유방 세력이 이곳을 경계로 하여 동쪽은 초나라 서쪽은 한나라가 차지하기로 협약을 했습니다.협약 이후 돌아가려는 유방을 장량과 진평이 초나라를 공격할 것을 청했고 이에 유방은 다시 군사를 모아 마침내 초나라를 해하 전투에서 무찔러 승리하였습니다.훗날 홍구를 지나던 한유는 옛일을 생각하며 이때의 싸움을 천하를 건 일대 도박으로 보고 회고시를 쓴 것입니다.※ 회고시 :.. 2023. 5. 3.
가담항설 街談巷說 풍문으로 들어소 가담항설(街談巷說)街(거리 가): 거리, 큰 길.談(말씀 담): 이야기하다, 말하다.巷(거리 항): 골목, 좁은 길.說(말씀 설): 말하다, 이야기하다.길거리나 항간에서 떠도는 이야기나 소문을 의미하며, 정확하지 않은 비공식적인 소문이나 풍문을 가리킨다. 유래한나라 때 황제가 민간의 풍속이나 정사를 알기 위하여 세상의 풍설과 풍문을 모아 기록하는 패관이라는 벼슬아치를 두었습니다. 하급 관리인 패관들은 여러 마을을 돌아다니며 가담항설을 기록하였습니다.풍문 : 바람결에 떠도는 소문풍설 : 출처를 알 수 없는, 떠도는 소문 유의어유언비어(流言蜚語): 사실이 아닌 헛된 소문이나 근거 없는 말.풍문(風聞): 떠도는 소문이나 이야기. 2023. 5. 2.
교토삼굴 狡兔三窟 위험을 피하기 위한 지혜와 대비 교토삼굴(狡兔三窟)狡(교활할 교): 교활하다, 간사하다.兔(토끼 토): 토끼.三(셋 삼): 셋, 세 개.窟(굴 굴): 굴, 동굴.교활한 토끼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세 개의 굴을 파놓는다는 뜻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미리 대비책을 여러 개 마련함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래전국시대 제나라에 '맹산군'이라는 이름난 인물이 있었습니다. 그의 집에는 늘 식객들로 붐볐고 많을 때는 3,000명에 이를 정도였다고 합니다. 이 식객들 중에는 '풍환'이라는 사람도 있었습니다.맹상군은 설이라 불리는 지역을 다스리고 있었는데 그 지역 백성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아 수많은 식객들을 먹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돈을 빌린 백성들 가운데 갚지 않는 이들이 많았습니다.돈을 받기 위해 누굴 보내야 할지 고민하는 맹상군에게.. 2023. 5. 2.
운칠기삼 運七技三 그래도 운이 십은 아니잖아 운칠기삼(運七技三)運(운 운): 운, 운명, 돌다.七(일곱 칠): 일곱, 비율의 7할을 의미.技(재주 기): 기술, 재주, 능력.三(셋 삼): 셋, 비율의 3할을 의미.성공이나 성취에 있어서 운이 7할을 차지하고, 기술이나 노력은 3할에 불과하다는 뜻으로, 인생의 성공에는 운이 큰 역할을 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중국 설화한 선비가 오래 동안 글공부를 하였지만 계속 떨어지고 집은 패가망신하자 너무 원통해서 옥황상제에게 가서 따졌다고 합니다.왜 자신보다 못한 선비들은 급제에 성공하고 자신만 매번 낙제하는지 물었습니다. 이에 옥황상제는 곰곰이 생각하다가 정의의 신과 운명의 신을 불러 술 내기를 시켰습니다.이윽고 술 내기가 끝나고 운명의 신은 7잔을 마셨고 정의의 신은 3잔을 마셨습니다. 이에 옥황상제는 세상은.. 2023. 5. 1.
과하지욕 袴下之辱 한신의 굴욕 간단히 알아보기 과하지욕 (袴下之辱)袴(바지 과): 바지.下(아래 하): 아래, 밑.之(갈 지): ~의.辱(욕될 욕): 모욕, 치욕.바짓가랑이 밑을 기어가는 치욕을 뜻하는 고사성어로 큰 뜻을 지닌 사람은 쓸데없는 일로 남들과 옥신각신 다투지 않음을 빗대는 말이다 유래사마천의 사기 회음후열전출전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신이 젊을 적 가난하여 한 마을의 정장에게 빌붙어 살 때 그는 마음속에 품은 큰 뜻이 있었기에 항상 칼을 차고 다녔습니다.어느 날, 한신이 고향 회음의 시장을 거닐 때였습니다. 칼을 찬 한신이 눈에 거슬렸던 불량배 하나가 그에게 시비를 걸었습니다."칼을 차고 다니지만 사실은 아무것도 없는 겁쟁이 아니냐? 네놈에게 사람을 죽일 만한 용기가 있다면 그 칼로 어디 나를 한 번 찔러보아라. 그렇지 못하겠다면 내 가랑.. 2023. 5. 1.
토사구팽 兎死狗烹 범려와 한신 토사구팽(兎死狗烹)兎(토끼 토): 토끼.死(죽을 사): 죽다.狗(개 구): 개.烹(삶을 팽): 삶다, 요리하다.토끼가 잡히고 나면 충실했던 사냥개도 쓸모가 없어져 주인에게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으면 야박하게 버리는 상황을 이르는 말 유래 춘추시대 월나라의 재상 범려가 한 말로 전해지는 토사구팽은 한신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질 때 남긴 이야기로 유명해졌다고 합니다. 월나라 범려 월나라 왕 구천의 신하였던 범려와 문종은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월나라가 패권을 잡는데 큰 공을 세우지만, 범려는 왕 구천을 믿을 수 없는 사람이라고 여겨 월나라를 탈출합니다 도피에 성공한 범려는 문종에게 "새 사냥이 끝나면 좋은 활도 감추어지고, 교활한 토끼를 다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라는 편.. 2023. 4. 30.
국사무쌍 國士無雙 한 나라에서 독보적인 인재 국사무쌍(國士無雙)國(나라 국): 나라, 국가.士(선비 사): 선비, 학식이 높은 사람.無(없을 무): 없다.雙(쌍 쌍): 짝, 쌍.한 나라에서 견줄 만한 사람이 없을 정도로 뛰어난 인물이라는 뜻. 어떤 분야에서 독보적으로 뛰어난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유래에 나오는 말로 한나라 명신 소하가 한신을 한고조 유방에게 추천하면서 "한신만은 국사로서 둘도 없는 사람입니다."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유방이 항우와 주도권을 다툴 때 항우의 힘이 워낙 강해 유방 진영이 점차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장수와 병사들의 이탈이 생기고 있었습니다.그러던 어느 날 유방의 고향 친구이자 오른팔인 소하마저 도망쳤다는 말에 유방은 몹시 낙담하였는데, 며칠 후 소하가 한신을 데리고 돌아오자 반가우면서도 괘씸하여 화를 내며 어째서 도망.. 2023. 4. 30.
관포지교 뜻 유래 - 관중과 포숙아 관포지교 (管鮑之交)관 (管): 대롱이나 피리 등을 뜻하는 '관' 자로, 여기서는 관중(管仲)의 성을 나타냅니다.포 (鮑): 물고기 중 하나인 전복을 뜻하는 '포' 자로, 포숙아(鮑叔牙)의 성을 나타냅니다.지 (之): '~의'라는 뜻으로, 앞의 두 인물(관중과 포숙아) 사이의 관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교 (交): 사귈 '교' 자로, 친구 사이의 사귐이나 교류를 의미합니다.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처럼 아주 돈돈하고 허물없는 사이 (친구 사이의 깊은 우정을 말한다)유래중국 춘추시대 제나라에 관중과 포숙아라는 두 관리가 있었다. 둘은 죽마고우로 둘도 없는 친구였으나 벼슬길에 오른 뒤 각자 다른 길을 걷기 시작해 본의 아니게 적이 되었다.관중은 제나라 군주인 희공의 공자 규를 보좌하게 되었고, 포숙아는 규의 .. 2023.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