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63

거세개탁 擧世皆濁 뜻 유래 온 세상이 모두 탁하다 거세개탁 (擧世皆濁)擧(들 거): 들다, 모든.世(세상 세): 세상.皆(다 개): 모두.濁(흐릴 탁): 흐리다, 탁하다.온 세상이 모두 탁하다 (지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이 다 바르지 않다) 유래초나라 충신 굴원이 지은 《어부사》에 실린 고사성어로 굴원은 시기하는 간신들의 모함을 받아 벼슬에서 쫓겨났습니다. 어느 날 굴원이 강을 거닐며 초췌한 모습으로 시를 읊고 있는데, 그를 알아본 어부가 어찌하여 그 꼴이 됐느냐고 이유를 묻자,  굴원은 "온 세상이 모두 흐렸으나 나 홀로 맑았으며, 뭇사람이 다 취했는데 나 홀로 깨어 있어서 쫓겨났다"라고 답합니다. 2023. 5. 13.
강구연월 뜻 유래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 강구연월(康衢煙月)康(편안할 강): 편안하다, 평화롭다衢(네거리 구): 네거리, 길목煙(연기 연): 연기, 안개月(달 월): 달, 달빛번화한 거리에서 달빛이 연무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 (태평한 시대의 평화스러운 풍경) 유래'강구'는 큰길로 사람의 왕래가 많은 거리, '연월'은 연기가 나고 달빛이 비친다는 뜻으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으로 중국 요나라 때, 임금이 나라를 다스린 지 50년이 되어 민심을 살피려고 나온 길에 어느 번화한 네거리에서 놀고 있던 아이들이 불렀다는 노래이다 2023. 5. 13.
거안사위 居安思危 진나라 위강 이야기 거안사위(居安思危)居(살 거): 살다, 머물다.安(편안할 안): 평안하다, 안전하다.思(생각 사): 생각하다, 숙고하다.危(위태할 위): 위험하다, 위태롭다.평안할 때도 위험을 생각한다는 의미로, 평화롭고 안정된 때에도 장차 닥칠 수 있는 위기에 대비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유래춘추시대 진나라는 난서와 중항언이 군주 여공을 시해하고, 국외에 있던 공자를 불러들여 임금으로 추대하였는데 그가 곧 도공이다.진나라는 도공의 지도력과 대신들이 합심해서 다시 초나라와 맞설 수 있을 정도의 국력을 회복하였지만 문제는 북방의 야인 부족 융적이었다.이들이 등 뒤에서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 한 마음 놓고 초나라와 맞설 수가 없어 도공은 먼저 융적을 토벌하고 후환을 없앤다는 생각을 하였으나, 대신인 위강은 "우리 군사.. 2023. 5. 13.
문경지교 刎頸之交 뜻 유래 인상여와 염파 이야기 문경지교 (刎頸之交)刎(목 벨 문): 목을 베다.頸(목 경): 목.之(갈 지): …의.交(사귈 교): 사귀다, 교우하다.목을 베어 줄 수 있는 사귐 (우정이 깊어 생사고락을 함께 할 수 있는 친구) 유래전국시대 조나라 인상여는 원래 조정 대신 무현의 식객이었으나, 진나라에 빼앗길 뻔한 천하의 보물 화씨벽이란 옥을 무사시 구해 가져온 공로로 혜문왕으로 부터 일약 상대부란 높은 벼슬을 받았으며, 불과 3년 후에는 상경이라는 높은 벼슬까지 올라갔습니다.상경은 조나라의 명장 상장군 염파보다 높은 직위로, 염파는 화가 나서 목숨을 걸고 전장을 누비는 자신 보다 세 치 혓바닥 몇 번 놀리고 자신의 윗자리에 오른 인상여를 톡톡히 망신을 주고 말겠다고 하였습니다.이 말을 전해 들은 인상여는 될 수 있으면 염파와 부디치.. 2023. 5. 12.
갑론을박 甲論乙駁 뜻 유래 간단히 알아보기 갑론을박(甲論乙駁)甲(갑옷 갑): 첫 번째, 갑論(논할 논): 말하다, 주장하다乙(새 을): 두 번째, 을駁(논박할 박): 반박하다, 논박하다갑이 주장하고 을이 반박한다 (서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며 상대편 주장을 반반하는 모습 유래바닷가에서 고기잡이를 하던 삼 형제가 하늘에 날아가는 새를 보고 첫째가 잡아서 삶아 먹자고 하자, 둘째는 구워 먹는 게 좋다고 하였습니다. 그러자 셋째가 맛있게 먹으려면 끓는 물에 데친 후 구워 먹자고 하였습니다.서로 자기 생각만 주장하며 갑론을박하던 형제들은 그 해결책을 얻기위해 고을 수령에게 갔습니다. 이야기를 들은 수령은 먼저 새부터 잡아오라고 하였지만 그 사이 바다새는 날아가고 없었습니다. 2023. 5. 12.
금의환향 金衣還鄕 금의야행 金衣夜行 항우의 영광과 비극이 교차한 귀향 금의환향(金衣還鄕)金(쇠 금): 금, 귀중한 금속.衣(옷 의): 옷, 의복.還(돌아올 환): 돌아오다, 돌아가다.鄕(마을 향): 고향, 시골.비단옷을 입고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성공하여 영광스럽게 고향에 돌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래항우와 반란군들이 진나라 수도 함양에 진입함으로써 진나라는 15년 만에 완전히 멸망하여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힘과 세력이 가장 강했던 항우는 반군 지휘관들로 부터 가장 높은 자리에 추대됩니다. 이때 항우의 참모 한생이라는 자가 간하고 나섰습니다. "관중은 뛰어난 요충지이자 비옥한 곳입니다. 이곳을 근거로 하면 천하를 통일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항우는 "성공하고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면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가는 것과 무엇이.. 2023. 5. 12.